```html
생계급여 vs.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차이점 완벽 정리!
갑자기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닥쳤을 때, 정부에서 지원하는 복지제도를 알고 있으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원 제도 중 생계급여와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이 있는데요. 두 가지 모두 현금으로 받을 수 있지만 지원 대상과 조건이 다릅니다.
제 경우를 말씀드리자면 저는 주거급여 받을 수 있는 사람인데 현재 홈리스이다보니 주거비를 낸 증거 같은 것이 없어서 받지 못합니다.
단지 작년부터 몸이 많이 힘들어져서 일을 거의 못하다보니 돈을 벌지 못해서 얼마전 진짜 부끄럽지만 너무 힘들어서 긴급 복지 생계 지원금을 신청해서 2달째 받고 있습니다.
얼마나 감사하던지요...덕분에 버티고 있는데 빨리 회복해서 더이상 지원금 안받고 제 힘으로 살고 싶네요
진짜 서울 대치 4동 주민센터 복지 도와주시는 분들 너무 친절하시고 저의 자존심이 상하지 않게 말 한마디도 함부로 안하시고 신경 써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그러니 정말 힘드신 분들은 나쁜 생각 하시기 이전에 인근 주민센터로 문의 한번이라도 해보세요.
자 그러면 오늘은 이 두 가지 지원 제도의 차이점과 동시에 받을 수 있는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생계급여란?
생계급여는 소득이 중위소득 32% 이하일 경우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입니다.
🔹 지원 대상
-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32% 이하
- 부양의무자 기준 충족 (2025년부터 완화 예정)
- 근로능력 부족 (만 18세 이하, 65세 이상, 질병 등)
🔹 지원 금액 (2024년 기준)
가구원 수 | 생계급여 지급 기준액 |
---|---|
1인 | 71만 원 |
2인 | 118만 원 |
3인 | 151만 원 |
4인 | 183만 원 |
5인 | 214만 원 |
6인 | 244만 원 |
👉 생계급여는 소득 인정액을 차감한 금액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 소득 인정액이 15만 원이면
71만 원 – 15만 원 = 56만 원을 매월 지급받습니다.
🔹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 2024년 기준: 부양의무자의 연소득 1억 원 또는 재산 9억 원 초과 시 수급 탈락
- 2025년부터 완화: 연소득 1억 3천만 원 또는 재산 12억 원 초과 시 수급 탈락
2.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이란?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인해 생계가 어려운 경우 받을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 지원 대상
- 주 소득자 사망, 가출, 구금, 실직
- 중한 질병 또는 부상
- 가정 폭력, 학대 피해자
- 화재, 자연재해 피해
- 전세 사기 피해자 등
👉 일반인들도 실직, 이혼, 사고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생계가 곤란한 경우 지원 가능
🔹 지원 금액 (2024년 기준)
가구원 수 | 지원 금액 (3개월간) |
---|---|
1인 | 71만 원 |
2인 | 118만 원 |
3인 | 151만 원 |
4인 | 183만 원 |
5인 | 214만 원 |
6인 | 244만 원 |
👉 생계급여와 달리 소득 인정액 차감 없이 정액 지급
👉 3개월 지급 후 상황에 따라 연장 가능
🔹 소득·재산 기준
- 소득 기준: 1인 가구 167만 원 이하, 2인 가구 276만 원 이하, 3인 가구 354만 원 이하, 4인 가구 430만 원 이하
- 재산 기준: 대도시 2억 4,100만 원 이하, 중소도시 1억 5,200만 원 이하, 농어촌 1억 3,000만 원 이하
- 금융재산: 600만 원 이하
3. 생계급여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차이점
구분 | 생계급여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
---|---|---|
지원 대상 | 지속적으로 소득이 적은 가구 | 갑작스러운 위기 발생 가구 |
지원 기준 | 중위소득 32% 이하 | 소득·재산 기준 충족 |
지급 방식 | 매월 지급 | 3개월 정액 지급 (연장 가능) |
소득 차감 여부 | 소득 인정액 차감 후 지급 | 정액 지급 (소득 차감 없음)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 주민센터 방문 |
4. 두 가지를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 "생계급여"와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중복 수급 불가!
✅ 하지만,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 생계급여 전환 가능
✅ 생계급여 탈락 후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신청 가능
👉 즉,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을 받는 동안 생계급여를 신청하고, 통과되면 생계급여로 전환 가능!
5.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주민센터(행복복지센터) 방문
- 필요 서류: 신분증, 소득증빙자료, 재산 관련 서류 등
- 처리 기간: 생계급여(30~60일) /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즉시 지원)
- 이의 신청 가능: 생계급여 탈락 시 90일 이내 이의 신청 가능
✅ 마무리
생계급여와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어려운 상황에 처한 분들에게 꼭 필요한 지원금입니다.
상황에 따라 어떤 지원금이 맞는지 확인하시고 빠르게 신청하세요!
```
'각종지원금과경제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금 대출 거절 당했을 때 해결 방법 (0) | 2025.03.24 |
---|---|
지금 무주택자라면 생애 최초 대출 제대로 받으셔야 합니다. (1) | 2025.03.24 |
남의 돈으로 내 집 짓는 기술 (이건 기술입니다) (1) | 2025.03.22 |
2025년 무조건 받아야되는 정부 지원금 (2) | 2025.03.22 |
119안심콜 서비스,건강 생활 실천금 12만원,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까지 혜택 받아보세요 (2) | 2025.03.21 |